재례의식이란

49재란

 

사십구재[ 四十九齋 ]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천도(薦度:죽은 영혼이 좋은 곳에 태어나도록 기도함)의식이다. ‘칠칠일(七七日)
·칠칠재(七七齋)’ 라고도 합니다.

 

칠칠(7.7)재라는 말은 죽은 날로부터 매 7일째마다 일곱 차례에 걸쳐 재(齋)를 올린다는 뜻이고,"재(齋)"는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한다'는 뜻인데 불교에서는 부처님과 스님들께 올리는 공양이나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불공의식을 '재'라고 합니다.

 

49재 날(사망하여 49일째 되는 날)은 망자가 저승의 생활을 마치고 다음 생이 결정되는 중요한 순간이기 때문에
가족들은 영가(죽은 이)의 극락 왕생을 부처님과 지장보살님께 기원하는 것입니다.

 

어째서 7일마다, 또는 49일 만에 지내는 것인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부처님 말씀에 따르면 사람은 죽으면 일단 염라국(저승)으로 갑니다.
염라대왕은 생전에 행한 선과 악을 모두 조사하여 착한 일을 많이 한 사람은 바로 천상이나 극락으로 보내고,
악한 일을 많이 한 사람은 지옥으로 보내고, 선과 악이 비슷비슷하여 판결하기 곤란한 사람은 49일간 심사숙고하여
인간세상이나 지옥, 또는 축생(짐승)들의 세상으로 보내는데 매 7일 마다 판결하여 늦어도 49일째 되는 날에는 모든
판결이 끝나는 날이라고 합니다.

 

요즘으로 말하면 법원에서 재판할 적에 빠르면 1차나, 2차에서 판결하고 늦어도 3차에서 형량을 확정짓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될 것 입니다.

천도재란

 

천도재(天道齋)

 

죽은 이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식으로 49재와 같은 의미 입니다만, 천도재는 49일이 지난 후에도 또는 돌아가신
고인을 위하여 정해진 날이 없이 어느 때든지 지내는 것을 말 합니다.

 

천도재는 단순히 죽은 사람을 위한다는 것 외에도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 닥칠지도 모르는 재해를 막고 복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도 포함됩니다. (예수재의 성격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즉, 나를 잘 먹이고 잘 입히고 좋은 자리에 두는 것이 조상들께 잘하는 것 인데 보통은 그러지 못합니다.
역설적으로 말씀 드리자면 천도재는 결국엔 나와 내 가족들의 행복과 무탈한 미래를 위해서 올리는 기도의식이라
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천도재는 사령으로 인한 탈(죽은 사람으로 인해 생긴 병 )이 생겼을 경우에도 행하게 되는데,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해지는 천도재의 경우 병(病)굿의 성격을 겸하게 됩니다.

 

올바른 천도의식은 수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기원한답니다.

삼우제란

 

삼우제

삼우제는 장사(매장 혹은 화장)지낸 날부터 3일째에 지내는 제사입니다
요즘은 3일째 날에 지내지만 원래는 초우제, 재우제 지낸 후의 강일(剛日: 육갑의 십간 중에서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이 들어간 날)에 지냅니다.
그러므로 3일째가 될 수도 있고 그 후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무조건 3일째에 지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초우제, 재우제, 삼우제를 통털어 '우제'라고 하는데, 우제는 '돌아가신지 얼마 되지 않은 고인의 혼이 방황하지 않고
편안하게 계시도록 안정시켜 드린다'는 의미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그리고 우제는 집에서 하루 한 번씩, 도합 세 번(초우제-재우제-삼우제) 지내는 제사입니다.

 

즉, 원래의 삼우제는 '장사 3일째 날에 산소 살펴드리고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가 아니라, '고인의 혼을 안정
시켜드리기 위해' 집에서 지내는 제사라는 말입니다.
근래 들어 삼우제를 장사 3일 만에 산소에서 가서 지내게 된 이유는 (근래에 들어 현대인들이) 삼우제때 탈상을 많이
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삼오제'가 아니라 '삼우제'입니다. 요즘은 돌아가신지 3일째에 장사지내고 5일째에 삼우제 지내다보니
'35제'라 부르면 외우기는 쉽습니다만, 삼오제란 말은 틀린 말입니다.)

예수재란

 

예수재 [ 預修齋 ]

 

사후(死後)를 위해 살아 있을 때 재를 올려 공덕을 쌓는 불교의례. 삼사순례(三寺巡禮), 가사불사(袈裟佛事)와 함께
윤달[閏月]에 행하는 대표적인 불교민속의 하나입니다.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 예수칠재(預修七齋)라고도 하며,
사후에 행할 일을 미리 한다는 의미에서 역수(逆修)라는 말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미리[預] 닦는다[修]’라는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예수재는 본래 불자들이 소홀했던 자기수행을 점검하고 선행을
발원하는 의례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경전에서 “예수(預修)하고자 하거든 방생부터 먼저 하라.”라고
한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자신의 극락왕생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이웃을 위한 보시행으로 공덕을 쌓는 의례이기도
합니다.

 

49재나 천도재가 죽은 사람을 위한 것이라면 예수재(豫修齋)는 살아 있는 사람의 미래, 즉 자기 자신의 죽은 후의
극락왕생을 미리 기원하는 의식입니다. 죽은 뒤에 남의 손에 의하여 극락왕생을 바라느니 보다는 자기 자신이
살아 있을 적에 스스로를 위하여 미리 공덕을 쌓는 것 입니다.

 

자신이 사후 일을 미리 보증해 두는 것인데 매우 좋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기제사란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忌日), 또는 휘일(諱日)이라고 하는데, 대상(大祥: 죽은지 두 번째 지내는 제사)을
지낸 일 년 후부터 매년 이날 지내는 제사가 기제사입니다. 보통은 제사라고 부릅니다.
제사를 지내는 날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로, 자시(子時)에 시작해서 닭이 울기 전에 끝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보통 4대 조상인 고조부모까지 모시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기제사의 유래와 의미

 

기일 제사는 보통 기제사 또는 기제로 약칭되고 있습니다. 기일이란 돌아가신 날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제사는 돌아가신 날의 제사란 뜻입니다. 그러므로 기제사는 한 조상에 대해 일 년에 한 번만 지냅니다.
기제사는 제사의 대명사와 같아서 오늘날의 가정에서 가장 중요한 제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원래 고대에는 없던 것으로서 공자님도 지내지 않던 제사였습니다.
기일에 제사를 지내게 된 것은 비교적 후대인 중국 송나라 때부터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유학에 새로운 학풍을 몰고 왔던 성리학자들에 의해 비로소 제사하는 풍습이 생기게 된 것입니다.
북송의 사마광이 지은 『서의』에는 기제가 보이지 않고 남송의 주희가 지은 『가례』에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사이에 시작된 듯합니다.

 

제사는 본래 길례(吉禮)에 속하는 것입니다. 이는 귀신에게 음식과 재물과 같은 희생물을 바치고 춤과 음악으로
그를 기쁘게 함으로써 인간이 복을 받고자 했던 일종의 축제 같은 것이었습니다.

 

기제사는 원래 돌아가신 날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돌아가신 전 날이라 함은 제사는 그날 자정 무렵
날이 새는 첫 시각에 지내야하므로 제사당일에는 제사음식(제수)을 마련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어른들 표현이 전날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즉 19일이 제사 날(돌아가신 날)이라고 한다면 꼭두새벽에
언제 제수를 마련해서 제사를 지낼 수 있습니까? 그러니 18일 낮에 음식을 마련해서 19일 새벽 날이 밝는
첫 시간대에 제사를 지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축문에도"유 세차 을미 정월 병인삭 19일 갑신..."이렇게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삿날을 19일로
기억한다면 18일에 제수를 마련해서 19일 자정무렵에 지내는 것입니다.
잘못계산하면 제사 날을 놓칠 수 있기 때문에 돌아가신 전날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각 가정에서 날짜를 지정하여 그날 식구들 모여서 지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합동차례란

 

추석이나 설날 가정에서 음식을 차리고 조상에 대한 예를 갖추기 힘들 경우 절에서 지내는 합동차례
여러 가족들이 신청을 하여 절의 스님의 진행으로 각 가정 또는 돌아가신 영가를 위해 올리는 예식입니다.

블로그 인스타그램 오시는길 TOP